갤러리 23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페이스북 좋아요와 트위터 팔로워를 가진 박물관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페이스북 좋아요와 트위터 팔로워를 가진 박물관은? 만약 제목과 같은 질문을 받으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박물관은 어디인가요? 저는 루브르박물관을 떠올렸는데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진 분들 꽤 계실듯 합니다. ^^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위시한 SNS는 이제 하나의 트렌드를 넘어서 보편화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죠. 일반 기업에서는 SNS 전담 직원을 채용하거나 혹은 팀을 꾸려서 기업을 홍보하는데 적극 이용하는데, 박물관/미술관도 예외가 아닙니다. SNS가 박물관을 홍보해서 많은 수의 관람객을 유치하고 그들로 인한 티켓 수익, 아트샵 수익을 올리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많이 이용하겠지만, 단순히 단기적인 수익만을 노리고 하는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보다는 아무래도 박물관 고유 브랜딩을 만들..

미술 전시에 초대받았을 때 선물은 뭐가 좋을까?

미술 전시에 초대받았을 때 선물은 뭐가 좋을까? 전세계에서 수험생 중에 미대에 진학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가 우리나라라고 합니다. 어떤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나온 말은 아니지만 그만큼 미대생의 수가 많다는 의미를 강조한 말인듯 합니다. 이 글을 보고 계신 분들 중에 자신의 주위에 미대 출신이 한명도 없다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될만큼 미대생이 굉장히 많은 요즘이죠. 그래서 앞으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번 쯤은 미대 졸업전시회, 작가 개인전시회 등에 초대되어 가는 빈도 또한 잦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소소한 파티, 전시 관람 문화가 보편적이지 않은 것도 사실이죠. 그래서 어쩌다 한번 전시회에 초대되어 갈 때는 어떤 옷차림이 좋은지, 선물은 뭘 사갖..

[미술시장] 그림 값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미술시장] 그림 값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갤러리에 가보면 전시실에 걸려있는 작품들은 대부분 소속 작가들의 작품으로 팔기 위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미술관과 갤러리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전시를 위한 전시인지, 판매를 위한 전시인지로 구분하기도 하죠. 그 때문인지 미술관들은 기획 전시를 할 때 티켓을 판매를 하는 반면, 갤러리는 무료로 전시를 볼 수가 있습니다. 즉, 미술관은 티켓, 도록 등의 판매 수익이 중요하고, 갤러리는 작품 판매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사람들은 대부분(저도 그렇지만) 갤러리 안에 들어가는 것을 조금 꺼려하는 분위기인 것 같습니다. 마치 옷가게에 들어가서 아무 것도 안사고 나올 때의 뻘쭘함(?)이 갤러리에서도 느끼기 때문입니다. 물론 갤러리에서는 전시 관람만 하고 간다..